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09 - 서블릿(Servlet) 문자열 출력
서블릿/JSP 강의 09 - 서블릿(Servlet) 문자열 출력
1. 기존 자바 프로그램과 서블릿 프로그램에서 달라지는 부분
- 입/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 웹으로 바뀌는 것이고, 웹이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달되는 원격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형태
: 웹이란,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출력결과를 보내주거나,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을 받는 방법을 다루는 것
2. 서블릿 코드 작성하기 : response를 이용한 출력방법
- HttpServletRequest : 요청(입력)도구 / HttpServletResponse : 응답(출력)도구
OutputStream os = response.getOutputStream(); |
- 출력/입력은 Stream을 쓰는 것이 가장 기본. (파일 입/출력, 콘솔 입/출력, 네트워크 입/출력)
PrintStream out = new PrintStream(os, true); |
- 바이너리를 출력할 것도 아니고, 바이트를 출력할 것도 아니고, 문자열을 출력할 것이기 때문에 "os"라는 Stream 객체를 바로 쓰는 것 보다는 Stream을 조금 더 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하는 PrintSream 객체가 있으므로, 그것으로 래핑(?)을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.
: 기본적인 출력 Stream 객체("os")를 이용해서 조금 더 쉽게 문자를 쉽게 출력할 수 있도록 Print 계열의 함수들을 제공해주는 객체
- true : 네트워크로 출력되는 Stream은 글자하나 썼다고 보내지지 않고, 버퍼가 8KB 정도 되는데 채워지면 보내는데, 기다리지 말고 바로 출력해라 (flush 개념)
out.println("Hello Servlet"); |
- System.out.println : 서버쪽 콘솔에 출력 / out.println : 원격에 있는 Client에게 전달
PrintWriter out = response.getWriter(); |
- Java에는 Stream계열이 있고, Writer계열이 있다.
: 문자를 쓰겠다. 다국어다. -> PrintWriter
참고사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