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ecture/Servlet | JSP_New Lecture

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10 - 웹 개발을 위한 이클립스 IDE 준비하기, 11 - 이클립스를 이용한 서블릿 프로그래밍

은정재 2021. 12. 27. 21:20

[서블릿/JSP 강의 10 - 웹 개발을 위한 이클립스 IDE 준비하기]

 

1. 프로젝트 관리 + 코드 편집 도구 : 코드 수정의 편리함

 

 

[서블릿/JSP 강의 11 - 이클립스를 이용한 서블릿 프로그래밍]

 

1. Dynamic Web Project의 홈디렉토리 : WebContent

 

 

2. Eclipse Font Size 조절 방법

 

- Preferences > General > Appearance > Colors and Fonts > Basic > Text Font > Edit

 

3. html파일 "Run" 시 동작 프로세스

 

1) Run (Ctrl + F11 (Win 기준))

2) 위 문서가 바로 열리는 것이 아니라, 톰캣의 디렉토리로 옮겨짐

3) 톰캣이 실행되고, 이클립스가 브라우저를 띄워주고, index.html을 요청함

4) 위 문서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, 이 문서가 톰캣으로 배포된 디렉토리에 있는 것이 실행됨

 

5) 위 과정에서 톰캣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파일 하나가 복사본이 만들어 짐

: 위 창이 뜨는 것은 서버 설정을 하나 만들겠다는 의미

 

6) Run 이후 브라우저 띄워줄 때 원하는 브라우저 선택 방법

: Windows > Web Browser > 선택 (Default system web browser)

 

7) 홈디렉토리에 있는 문서를 요청한 화면

 

8) Context root : ROOT에 해당되는 기본 프로젝트를 사용하면 좋지 않다. ( 예) localhost:8080/JSPprj/index.html )

9) Context root : "/"로 변경

: Project > Properties > Web Project Settings > Context root > "/"

10) Tomcat Stop

 

11) Server탭에서 기존 Context 사이트 삭제 (더이상 의미가 없으므로)

12) 다시 "Run"

 

최종 화면 ( localhost:8080/index.html )

 

4. Eclipse에서 Servlet 생성

 

1) Project > Java Resources > src > 우클릭 > New > Class

2) Package, Name 입력 후 "Finish"

 

3) "Nana"라는 이름의 Class 생성

 

4) 실행을 하려면 Servlet(Nana)이라는 Class가 매핑이 되어있어야 함

: web.xml 생성 ( 위치 : WebContent > WEB-INF > web.xml )

 

최종화면 ( localhost:8080/hello )

 

 


* OS : 뉴렉처 - Windows 10 / 작성자 - macOS Catalina

* Ref : 모든 글은 저작권 문제 시 바로 삭제 조치

 

참고사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