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07 - 처음으로 서블릿 프로그램 만들어보기Lecture/Servlet | JSP_New Lecture 2021. 12. 27. 17:19
서블릿/JSP 강의 07 - 처음으로 서블릿 프로그램 만들어보기
1. 왜 웹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Servlet이라 명칭할까?
- 기능별로 코드가 나누어져 있음
: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만들어져 있음
- 조각나 있는 Server Application
- 모든걸 다 한번에 개발할 필요는 없고, 하나씩 하나씩 만들면 됨
: 지금까지 자바 Application은 main()함수를 시작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었지만, 이제부터는 service()라는 이름의 함수를 통해 프로그램을 만든다.
2. 서블릿 코드 작성과 실행
- WAS에 의해 로드되고 실행되고, 결과를 돌려 줌
: WAS는 class명에 관심이 없고, 약속되있는 interface명이나 추상클래스명을 사용 ( 예) extends HttpServlet )
: 추상클래스라는 자료형식으로 servlet을 참조. 호출하는 함수는 정해져 있는 서비스 함수
- (class명) Nana : 아무거나 해도 됨 / (function명) service : 약속되어 있는 함수이므로 정확히 작성해야 함
: Nana Servlet이라고 부름
- 텍스트편집기를 열어 작성 후 class명과 동일한 이름으로 파일명.java 로 저장
- 실행경로에 가서 컴파일
$ javac Nana.java : 컴파일 시 오류 발생 (cannot find symbol)
> servlet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jdk 라이브러리가 아님
> servlet 라이브러리는 지정해서 사용해야 함 : <options> --class-path, -classpath, -cp 셋 중에 하나 사용
$ javac -cp /{사용자경로}/apache-tomcat-8.5.69/lib/servlet-api.jar Nana.java - 정상적으로 실행되어 class파일이 생성됨을 확인
참고사이트
'Lecture > Servlet | JSP_New Le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10 - 웹 개발을 위한 이클립스 IDE 준비하기, 11 - 이클립스를 이용한 서블릿 프로그래밍 (0) 2021.12.27 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09 - 서블릿(Servlet) 문자열 출력 (0) 2021.12.27 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08 - 서블릿 객체 생성과 실행 방법 (0) 2021.12.27 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05 - 톰캣 9 설치하기 #2 of 3 - 웹문서 추가해보기, 06 - #3 of 3 - Context 사이트 추가하기 (0) 2021.12.27 [뉴렉처_강의정리] 서블릿/JSP 강의 02&03 - 웹 서버 프로그램과 Servlet (0) 2021.12.24